올 2024년 갑진년(甲辰年) 한 해가 저물어 가고 있다. 이제 다가오는 2025년이 한 달도 남지 않았다. 돌이켜 보면 한해를 어떻게 보냈는지 새해를 앞둔 시점에 많은 감정이 교차 되는 시간이다.
갑진년(甲辰年) 새해 초 ‘푸른 청룡의 해’라며 새로운 각오를 다졌던 시간 들이 엊그제 같은데 벌써 한해가 지나고 있다. 아쉬움과 함께 지난 시간을 뒤로하고 ‘푸른 뱀의 해’라고 알려진 새로운 을사년(乙巳年)이 우리 앞에 다가오고 있다. 그러고 보니 책상 앞에 놓여있는 두툼했던 달력이 한 장씩 떨어져 나가고 달랑 한 장만 남아있다.
우리는 매년 시작과 끝을 반복하며 한 해를 보내왔고, 올해도 변함없는 일상이 되풀이되고 있다. 해가 지나면 나이테 하나가 늘어나는 나무들처럼 우리네 인생도 나이를 먹어 연륜이 쌓이면서 삶의 여정이 계속되고 있다.
식자층으로 알려진 교수들은 지난 새해 벽두에 우리 사회 단면을 대변하는 사자성어를 견리망의(見利忘義)라 했다. ‘이로움을 보자, 의로움을 잊는다’는 뜻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에서 눈앞의 이익 앞에 서로가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이기적인 모습을 적절하게 표현한 말 같다.
먼저 국민의 삶을 이끄는 정치판을 살펴보자. 여야를 막론한 정가는 협치와 소통은 없고 분열과 갈등만이 난무했다. 정쟁의 소용돌이 속에 권력을 쟁취하기 위한 우격다짐과 적반하장(賊反荷杖)격의 불편한 모습은 그들을 뽑아준 많은 국민들에게 실망감을 안겨주었다. 경제문제도 그렇다. 고물가와 고금리로 서민들이 힘든 한 해를 보내고 있지만 좀처럼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지난 시간 들을 되돌아보면, 지난해 12월이나 올 12월이나 별로 달라진 게 없다. 날마다 되풀이되는 우리네 삶의 경계는 해가 뜨면 일어나고 해가 지면 하루를 마감한다. 이런 일이 평생 되풀이되는 일상이다. 날마다 되풀이되는 하루는 인생의 압축이고 축약이다. 그래서 하루를 보람 있게 보내는 것이 잘 사는 것이다.
누구나 사람들은 아침에 일어나 동녁에 떠오르는 해를 보며 다른 사람들과 비교해 특별한 승리를 다짐한다. 하지만 태양의 빛은 누구도 차별하지 않고 모두에게 공평하다. 새해가 시작되면 모든 사람들은 새로운 각오를 다진다. 무성했던 봄날의 꿈을 실현하기 위해 한여름 무더위 속에 땀을 흘렸던 시간도 있고,어둠이 가시지 않은 추운 새벽 시간에 일어나 원행(遠行)을 준비했던 일도 있다.
지난 시간들. 우리 모두는 나름대로 노력해 왔고, 그리고 지금 시작한 일들을 분주하게 마무리하고 있다. 우리는 한정된 시간 속에 정해진 삶을 살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지나간 일에너무 연연하거나 매달릴 필요는 없다. 과거의 일은 그것이 어떻게 끝맺었든 그것대로의 의미가 있다. 그리고 새로운 일을 새롭게 만들어 가야 할 의무가 있을 뿐이다.
세월이 참 빠르다. 새해를 맞이한 것이 불과 며칠 전 일 같은데 이미 한해의 종착역에 와 있다. 우리의 소중한 시간들이 이렇게 가고 있는 것이다. 한해의 끝은 마음을 비우는 시간이다.
세월은 흘러가는 물처럼 결코 거꾸로 흐르는 법이 없다. 그리고 사람을 기다리지도 않는다. 지난 시간 좋았던 일이나 아쉬웠던 일들도 무심한 마음으로 흘려보내면 된다.
가진 것이 있으면 베풀고, 상대방과 오해로 서운한 감정이 있으면 화해와 용서를 하며 사는 것이다. 다가오는 새해에는 올해보다 삶의 방향과 목적을 더욱 분명히 한 채 계속해서 자기관리에 힘써야 될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