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수첩)구례군의회 정길선 의장, "소통과 협치로 군민 행복 실현"

  • 등록 2025.02.16 07:16:14
크게보기

전남 첫 관광특구 구례, 정길선 의장이 전하는 매력
섬진강에서 화엄사까지, 정길선 의장이 말하는 구례의 미래
소통과 협치로 구례 발전을 이끄는 정길선 군의회 의장

“우리 군의회보다 집행부와 협치가 잘되는 지자체는 전국에서 찾기 어려울 것입니다.”“구례군은 작은 규모의 지자체이지만, 가장 많은 볼거리를 갖춘 살기 좋은 지역입니다.”

 

정길선 구례군의회 의장은 지난 23일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이같이 강조했다. 인터뷰 중에도, 이후 사석에서의 대화에서도 그는 군정과 구례군에 대한 깊은 애정을 숨기지 않았다.

 

보통 지방의회 의장들은 군정을 비판하거나 의회의 성과를 강조하는 경우가 많지만, 정 의장은 달랐다. 그는 따뜻하고 열린 마음으로 군정을 감싸 안으며, 군민이 더 잘 살 수 있도록 소통과 협치를 최우선으로 삼고 있었다. 이러한 태도는 교직에서 오랜 기간 후진을 양성하며 봉사의 가치를 실천한 그의 경험과도 닿아 있다.

 

구례군은 전라남도에서 가장 작은 지자체로, 면적 443.24㎢, 인구 2만 4천여 명에 불과하다. 하지만 규모로만 판단하기엔 섣부르다.구례는 전남 최초로 관광특구로 지정된 지역으로, 천혜의 자연환경과 유서 깊은 문화유산을 품고 있다. 지리산국립공원, 청정 하천 섬진강, 그리고 천년고찰 화엄사는 구례를 대표하는 명소다. 이곳은 계절마다 각기 다른 매력을 뽐내며, 관광객들에게 잊지 못할 경험을 선사한다.

 

봄이면 구례 산수유 군락이 장관을 이루고, 가을에는 단풍이 물든 지리산 피아골이 절경을 자랑한다. 이에 맞춰 ‘산수유꽃 축제’와 ‘피아골 단풍 축제’가 매년 개최되며, 많은 관광객을 불러 모은다.

 

뿐만 아니라 섬진강에서 잡아 올린 다슬기와 은어 요리는 미식가들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지리산 노고단, 지리산 호수공원, 화엄사, 운조루 등 다양한 명소가 방문객들을 기다리고 있다. 특히 섬진강변 도로는 벚꽃 명소로도 유명해 봄철이면 많은 이들이 찾는다.

 

정 의장은 특히 화엄사에 대한 애착이 크다. 그는 군의회 의장이면서도 화엄사 신도회 회장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다. 화엄사는 단순한 사찰을 넘어, 지역과 함께하는 열린 문화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그가 강조하는 ‘화엄문화제’는 불교문화를 활용한 지역 대표 축제로 성장했으며, 매년 100만 명 이상의 방문객을 유치하고 있다. 이에 따른 경제적 부가가치는 연간 약 120억 원에 달해, 구례 발전에 큰 기여를 하고 있다.

 

구례에서는 여전히 5일장이 열리며, 이곳에서는 구례 오이를 비롯해 산수유, 대추, 단감, 매실, 밤, 산나물, 고로쇠 등 지역 특산품을 만날 수 있다. 자연과 전통이 어우러진 구례만의 매력이다.

 

그러나 정 의장이 아쉬움을 느끼는 부분도 있다. 그는 2020년 섬진강 댐 방류로 인한 수해 참사를 언급하며, 체계적인 수계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를 위해 섬진강유역 환경청 신설을 추진해, 보다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한다.

 

정 의장의 의정 철학은 단순한 감시와 견제가 아니라, 집행부가 원활하게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돕는 ‘소통과 협치’에 있다. 그는 “우리 군의회보다 협치가 잘되는 자치단체를 찾기 어려울 것”이라며, 구례군의회가 운영의 모

군민과 소통하며 협치를 실현하는 정길선 의장. 그의 노력 덕분에 구례는 더욱 살기 좋은 곳으로 변화하고 있다.

관리자 기자 nbu9898@nate.com
Copyright @한국소통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금빛로61번길 11,1층 | 대표전화 : 031-742-7876 제호 : 한국소통투데이 | 사업자번호 : 752-81-01318 | 등록번호 : 문화 나 00045 | 법인 등록일 : 2020-02-27 | 회장·발행·편집인 : 신다은 | 대표 : 권영분 | 청소년보호책임자 : 이재문 | 한국소통투데이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 2021 한국소통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mail to kbcs@kbc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