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통투데이 통신사=신유철 칼럼)“이재민들이 빠르게 생업을 회복할 수 있도록, 가능한 한 신속하게 원래 살던 곳으로 이주시키는 것이 가장 중요한 과제입니다. 또한 과수농가와 가축 피해를 정확히 산출하여 정부 차원의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윤경희 청송군수는 “산불로 집을 잃은 이재민들을 위해 주거지 마련과 보상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청송 지역 산불 피해 발생 후 최근 인터뷰를 위해 만난 윤 군수와 청송군 공무원들은 이재민들을 위한 후속 대책을 마련하는 데에 지친 모습이었다. 청송군의 공무원들은 그 누구도 예외 없이 24시간 교대 근무를 하며 보름 넘게 이재민들을 돌보고 있다. 이들뿐만 아니라, 재해 현장에서 구호품을 전달하며 봉사 활동을 하는 자원봉사자들의 따뜻한 손길도 이재민들에게 큰 힘이 되고 있다.
청송군의 첫 번째 대책은 이재민들이 임시로 머물 수 있는 천막 텐트 시설을 마련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기온 상승과 함께 텐트에서 생활하는 이재민들이 전염병에 노출될 위험과 화재 사고 위험에 직면하게 되자, 청송군은 이들을 위한 조립식 임대주택을 빠르게 지어야 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청송군은 5월까지 이주 문제를 해결할 계획이다. 대부분의 이재민들은 다른 지역으로 거처를 옮겼지만, 일부는 여전히 자리를 떠나지 못하고 있다.
특히, 나이가 많은 어르신들은 평생을 함께한 집이 순식간에 사라진 상황을 보고 쉽게 마음을 추스르지 못하고 있다. 어떤 어르신은 공무원들과 자원봉사자들에게 화를 내기도 하고, 대소변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해 주변을 당황하게 만들기도 한다. 이들에게 상실감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정신적 치료가 필수적인 상황이다.
청송군은 임시로 인근 호텔이나 여관 등을 정해 식비와 숙박비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응급 대책을 마련했으며, 이들을 위한 임시주택 자금도 배정했다. 이 자금은 국비 50%, 도비 25%, 군비 25%로 지원된다.
다음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는 이재민들에 대한 보상 문제다. 군 조사 결과에 따르면, 550세대가 새로 주택을 지어야 할 상황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청송군은 행정안전부의 감독 하에 15일까지 정확한 실측 조사를 실시하고, 복구가 불가능한 집은 철거 대상 건축물로 정하기로 했다. 위성사진 판독을 통해 전소와 반소 등 피해 정도를 구분하여 보상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이어, 과수 농가와 가축 피해에 대한 보상도 중요한 문제다. 청송 지역은 사과 재배 농가가 많고, 염소를 사육하는 농가가 많아 농민들의 주요 소득원에 대한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
마지막으로, 산림 피해 복구 대책이 필요하다. 산림 피해는 임시 조치가 아닌, 중장기적인 계획을 통해 지역에 적합한 나무를 식재하는 방식으로 진행해야 한다. 청송군 홍보과 박 장혁 과장은 “더위가 심해지고 텐트 안에서 음식을 취사하는 일이 잦아 화재 위험과 식중독 등 질병 감염이 우려된다”며, “공무원들이 한시도 자리를 떠날 수 없는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고 안타까움을 토로했다.
박 과장은 또 “이재민들을 다른 곳으로 옮기는 일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하지만 청송군이 앞장서서 지원하고 있고, 중앙정부의 보다 넓은 지원이 따라야 한다”고 강조했다.
매년 마을 주변에서 봄꽃을 즐길 수 없었던 이재민들은 비좁은 공간에서 구호품에 의존하며 힘든 시간을 보내고 있다. 하루빨리 복구가 이루어져 주민들이 다시 삶의 의욕과 희망을 되찾을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