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통투데이 유상화 기자 | “몸을 움직이는 운동 그 이상입니다. 태권도는 삶의 무기이자 정신의 도장입니다.”
남승현 국기원 태권도시범단장은 태권도에 대해 이렇게 정의했다. 4월 16일 진행된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그는 태권도의 본질적 가치와 철학, 그리고 자신이 걸어온 길을 바탕으로 태권도의 미래에 대해 진지하게 이야기했다.
남 단장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는 세계 관공서 행사에서 태권도시범단을 인솔하며 한국 무도 문화의 우수성을 세계에 알리는 일을 하고 있다.
특히 그는 60세에 도전한 ‘공중격파’로 기네스북에 이름을 올리며 주목을 받았다. “청년들도 쉽지 않은 기술에 도전한 것은, 단지 기록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 태권도가 가진 의지와 정신을 행동으로 보여주고 싶었어요.”
그는 태권도가 대한민국 국기(國技)임에도 불구하고 점차 상징성을 잃어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해외에 나가 태극기를 보면 가슴이 뜨겁습니다. 국기를 대표하는 무도로서 태권도가 다시금 위상을 되찾기를 바랍니다.” 그는 국기원이 그 중심 역할을 하며 세계와 소통할 수 있는 구심점이 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태권도의 저변 확대를 위한 방안으로 ‘시니어 태권도 프로그램’도 제시했다. “태권도는 몸뿐만 아니라 뇌를 사용하는 전신 운동입니다. 노년층에게도 신체 능력뿐 아니라 정신 건강을 위한 훌륭한 수련이 될 수 있어요.” 그는 도장을 아이들만의 공간이 아니라 세대를 아우르는 열린 공간으로 변화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올해 국기원장 출마를 앞둔 그는 “단증을 받는 사람들이 자긍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국기원이 진정한 수련과 교육의 중심지가 되도록 만들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