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은 한국과 일본이 모두 직면한 중대한 사회적 문제입니다. 두 나라는 급속한 고령화와 경제 성장 둔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국가의 생존과 직결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과 일본 모두 매년 10월 10일을 '임산부의 날'로 지정해 임산부를 지원하고 있지만,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다 근본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2023년 기준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0.7명대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높은 주거비, 고용 불안정, 육아 부담, 그리고 교육비 지출은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 꼽힙니다.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은 이러한 경제적 부담에서 기인하며, 자녀 양육에 대한 걱정도 한몫하고 있다.
일본의 출산율 역시 1.3명대로 낮으며, 저출산과 고령화가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젊은 세대는 경제적 부담과 불안정한 직장 환경으로 인해 결혼과 출산을 미루는 경우가 많다. 인구 감소로 인한 노동력 부족과 경제 성장 둔화는 일본 사회가 직면할 장기적인 도전 과제이다.
한국과 일본 모두 출산율 회복이 쉽지 않은 상황에 처해 있으며, 젊은 세대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사회적 지원 부족으로 인해 결혼과 출산을 기피하고 있다. 정부는 출산 장려 정책을 도입했지만,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큰 성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여성의 경력 단절, 남성의 낮은 육아 참여, 직장 내 성차별적 환경 등도 중요한 문제이다.
다가오는 임산부의 날을 맞이하여 단순히 출산 장려를 넘어서, 임산부와 미래 세대를 위한 실질적인 변화가 필요하다. 출산과 육아를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는 사회적 분위기를 개선하고, 임산부가 건강하게 아이를 낳고 양육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는 국가의 장기적인 생존과 번영을 위한 필수 과제다.
임산부의 날은 출산과 육아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되짚어보고, 이를 해결할 방안을 모색하는 날이 되어야 합니다. 주거, 교육, 의료, 고용 등 다방면에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며, 정책적 의지와 사회 전반의 인식 변화가 필수적이다. 저출산 문제는 단순히 개인의 선택이 아닌 사회 전체의 책임임을 인식하고,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