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공백 없는 통합돌봄 제공 위한 통합지원회의 열려

시, 의료·돌봄, 보건·복지, 주거 전문가 등으로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통합지원회의 개최

 

한국소통투데이 관리자 기자 | 전주시는 지난 20일 대우빌딩 7층 영상회의실에서 성공적인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 추진을 위한 ‘통합지원회의’를 개최했다.

 

‘통합지원회의’는 돌봄이 필요한 노인이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를 누리고, 지역사회와 함께 어울려 살아갈 수 있도록 의료-돌봄 등 다양한 분야의 민·관 전문가가 함께 모여 자원 연계와 협력 방안 등을 모색하는 회의체이다.

 

이번 회의는 지난해 7월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이 추진된 이후 올해 4번째 열린 회의로, 의료·주거 및 사회복지 담당자,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 전주북부지사, 노인맞춤돌봄기관협회, 보건소, 통합돌봄사례관리사 등의 전문가 17명이 참여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동 통합지원회의를 통해 상정된 322명의 대상자에 대한 심의 및 결정, 돌봄서비스 간 연계·조정 등의 안건을 논의했으며, 상정 안건에 대한 서비스 지원을 승인했다.

 

특히 이번 회의를 통해 건강지킴이 서포터즈의 인원이 증가하게 되면서 통합돌봄 대상자면 누구나 제약 없이 건강지킴이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건강지킴이는 간단한 건강 체크를 대상자 스스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교육함으로써 만성질환 등의 예방기능을 강화하고 건강을 챙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이와 관련 시는 현재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통해 올해 △보건의료 △돌봄 △주거 △생활지원 △기타(거점공간운영, 스마트돌봄 등)의 5개 분야 32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시는 향후 서비스 이용자의 건강 상태를 고려한 개인별 사례관리를 통해 철저히 모니터링할 계획이다.

 

진교훈 전주시 노인복지과장은 “통합지원회의를 통해 지역 내 어르신들의 건강하고 행복한 삶과 더불어 민간과 공공, 부서 기관간 혁신적인 협업으로 돌봄의 시너지를 극대화해 노인 의료-돌봄 통합지원 시범사업을 선도하는 모델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