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한글날' 세계 속에서 빛나는 한글의 위상

세종대왕의 유산: 한글이 지닌 독창성과 가치
한글날: 세계 속의 고유 문자로서의 위상
한글의 역사와 미래: 문화유산을 넘어 세계로

(한국소통투데이 통신사=이종현 기자) 10월 9일은 한글날이다. 이 날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여 보급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전 세계에서 고유 문자를 기념하는 국경일을 가진 나라는 매우 드물다. 이는 자국의 고유한 문자를 보유한 나라가 많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한글날을 국경일로 지정하는 것은 특별한 의미를 갖는다.

 

한글날의 유래는 일제 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한글을 통해 민족의 자긍심과 혼을 되찾기 위해 1926년 '가갸날'이라는 이름으로 시작되었고, 1928년에 현재의 한글날로 명칭이 바뀌었다. 1946년부터는 공휴일로 지정되었으나, 1990년에는 노동 시간 감소를 우려한 경제단체의 반대로 잠시 제외된 적도 있다.

 

그러나 한글의 가치와 민족의 자긍심을 높이기 위해 한글날을 다시 공휴일로 정하기로 한 여론이 힘을 얻었다. 이에 정부는 578돌을 맞는 한글날을 기념하기 위해 세종문화회관에서 경축식을 개최하며, 국가 주요 인사들과 외교관 등 1,000여 명이 참석해 한글의 중요성과 의미를 되새길 예정이다.

 

행사에 앞서 지난 4일에는 경복궁에서 ‘2024년 전 국민 받아쓰기 대회’가 열렸다. 이번 대회에는 전국 예선을 통과한 120명과 외국인 특별 출연자 10명이 참가하였고, 이날 수상자 8명에 대한 시상식도 진행되었다. 또한, 정부는 내년부터 매년 5월 15일을 ‘세종대왕 나신 날’로 정해 국가기념일로 정하기로 하여, 한글이 존중받는 시대가 열리고 있다.

 

한글은 독창적이며 과학적으로 설계된 문자로,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뛰어난 문자이다. 한글에는 하늘, 땅, 그리고 우주에 대한 깊은 관점이 담겨있다.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는 백성을 사랑하는 그의 애민정신이 배어있다. 오랜 시간이 지나도 지금 우리는 한글의 가치를 소중히 여기는지 되돌아볼 필요가 있다. 한글이 우리나라의 문화 강국으로서의 발전에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했는지 생각해 볼 때다.

 

세계적인 언어학자인 고 제임스 맥콜리 교수는 생전에 10월 9일이면 제자들을 초청해 한글날 잔치를 열었고, 영국의 제프리 샘슨 교수는 한글이 소리 문자를 넘어 음성학적 자질을 지닌 문자라고 칭찬한 바 있다.

 

이와 같은 사실들은 우리가 한글에 대한 자부심을 느끼게 하는 중요한 이유들이다. 세계 언어학자들은 한글이 컴퓨터 자판 사용에 최적화되어 있으며, 최신 스마트폰 입력 방식이 한글 창제 원리를 따르고 있다고 전하고 있다. 또한, 한글의 서체가 가진 아름다움은 21세기 한글 미학의 재발견으로 평가받고 있다.

 

다양한 국가들을 살펴보면, 어떤 나라는 지배자의 언어를 사용하는 민족이 있으며, 다른 국가들에서는 여러 언어가 혼합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우리나라도 오랜 기간 주변 국가의 침입을 받아왔고, 일제 강점기에는 민족 말살 정책으로 한글이 큰 위기에 처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지혜로운 선조들은 ‘한글을 지키는 것이 우리의 정신을 지키는 길’이라는 판단 아래 나라말을 지켜왔다.

 

오늘날, 훌륭한 조상들의 덕분에 한류 열풍이 일고 있으며, 한국 문화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케이팝과 함께 젊은 세대 사이에서 한글과 한국어가 중심에 자리잡고 있으며, 한글을 제2외국어로 선택하는 국가도 늘어나고 있다. 심지어 베트남은 2021년에 한국어를 제1외국어로 선정하기도 했다.

 

지금 이 순간에도 해외에 있는 우리 젊은 세대들이 운영하는 한글 학교를 통해 한글이 널리 퍼지고 있다. 이러한 추세라면 한글이 공용어로 사용되는 국가도 점차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제 한글은 우리 문화에 대한 자부심이자 민족 혼이 담긴 정신으로 자리잡고 있다. 한글이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우리의 위상을 되찾는 계기가 될 것이다.

 

더 나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위해 한글은 문화유산을 넘어 세계문화유산으로 성장해야 할 소중한 문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