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 우리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상징하는 문화유산

578돌 맞은 한글날, 문화 강국 대한민국의 상징
세계 속으로 뻗어가는 한글의 가치와 위상
한글날의 역사와 미래: 세종대왕의 유산이 남긴 의미

10월 9일 한글날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하고 반포한 것을 기념하는 날이다. 문자와 관련된 국경일을 두는 나라는 드물며, 이는 고유 문자를 가진 나라 자체가 적기 때문이다. 한글날이 국경일로 지정된 것은 그만큼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한글날의 기원은 일제강점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1926년 ‘가갸날’로 시작되어 민족의 자부심을 되찾고자 했으며, 1928년 ‘한글날’로 개칭되었다. 1946년부터 공휴일로 지정되었으나, 1990년 경제적 이유로 한때 제외된 바 있다. 하지만 한글의 중요성을 되새기기 위해 다시 공휴일로 복원되었다.

올해로 578돌을 맞이한 한글날, 정부는 세종문화회관에서 경축식을 개최하며 주요 인사와 외교관을 포함한 약 1천 명이 참석한다. 또 10월 4일에는 경복궁에서 전국 예선을 통과한 120명과 외국인 특별 출연자 10명이 참여한 '2024 전 국민 받아쓰기 대회'가 열렸고, 8명의 수상자가 시상식에서 영예를 안았다. 내년부터는 5월 15일이 ‘세종대왕 탄신일’로 지정되어 국가 기념일이 될 예정이다.

 

한글은 창의적이고 과학적인 문자로, 그 독창성은 세계적으로도 유례를 찾기 힘들다. 하늘과 땅, 우주의 원리를 담아낸 한글은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을 상징하는 걸작이다. 우리는 한글의 가치를 되새기며 대한민국이 문화 강국으로 성장하는 데 한글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는 사실을 인식해야 한다.

 

세계적인 언어학자들도 한글을 찬양해왔다. 고(故) 제임스 맥콜리 교수는 매년 한글날을 기념하며, 영국의 제프리 샘슨 교수는 한글의 음성학적 우수성을 높이 평가했다. 한글의 직선과 곡선이 조화를 이루는 아름다움은 21세기 들어 새롭게 주목받고 있다.

 

세계 곳곳에는 고유 언어를 잃은 민족이 많고, 한 나라 안에서도 여러 언어가 혼용되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일제강점기 언어 탄압에도 불구하고 한글을 지켜냈다. 그 결과 오늘날 한국어와 한글은 한류와 함께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으며, 베트남에서는 한국어를 제1외국어로 지정하기도 했다.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 젊은이들은 한글학교를 운영하며 한글을 전파하고 있다. 앞으로도 한글이 더 많은 나라에서 사용될 가능성이 크다.

 

한글은 단순한 문자가 아니라, 우리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담은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전 세계로 확산되는 한글의 여정은 대한민국의 문화적 위상을 높이는 기회가 될 것이며, 이제 한글은 세계 문화유산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