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통투데이 통신사=김동현 기자) 인천시(시장 유정복)는 인천광역치매센터(센터장 정성우)와 함께 오는 8월 14일 ‘경증 초로기 치매환자 일자리 지원방안 정책제안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초로기 치매 환자의 고용 유지와 사회참여 확대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자리로, 관련 전문가와 당사자, 가족이 함께 참여해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정책에 반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다.
초로기 치매는 65세 이전에 발병하는 치매로, 비교적 젊은 나이에 병을 겪게 되면서 경제활동 중단과 사회적 고립, 가족의 돌봄 부담 증가 등 복합적인 어려움을 겪게 된다. 정부의 「제4차 국가치매관리계획」에서도 초로기 치매 환자의 사회활동 유지를 중요한 과제로 제시하고 있으나, 현실에서는 진단 이후 직장을 그만두거나 사회적 연결이 단절되는 사례가 많다.
인천시는 전국에서도 초로기 치매 환자 비율이 높은 지역적 특성을 고려해, 2020년부터 인천광역치매센터 부설 ‘두뇌 톡톡 뇌건강학교’를 초로기 치매 특화시설로 지정·운영하며 맞춤형 지원을 이어가고 있다. 쉼터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참여 활동도 병행해 운영하고 있으며, 이번 토론회를 통해 보다 지속 가능하고 현실적인 일자리 지원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토론회는 초로기 치매 환자의 일자리 유지와 사회적 참여, 인식 개선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질적인 대응책을 모색하는 자리다. 특히 발제자로는 초로기 치매 가족인 조기현 대표(돌봄 커뮤니티 ‘N인분’)와 일본 넷츠 토요타에서 근무 중인 초로기 치매 당사자 탄노 토모후미 씨가 참여해, 환자와 가족이 겪는 현실적 어려움과 필요한 지원에 대해 직접 이야기를 들려줄 예정이다. 이는 인천시가 환자와 가족이 정책 논의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한 대표적인 생활 밀착형 정책 사례로 평가된다.
탄노 토모후미 씨는 알츠하이머 진단 후에도 기업의 이해와 지원을 통해 직장 내 역할을 지속하고 있어, 초로기 치매 환자의 고용 유지 가능성을 보여주는 긍정적인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유애정 국민건강보험공단 통합돌봄연구센터장이 좌장을 맡고, 중앙치매센터, 함께일하는재단, 인천시 건강증진과, 일본 연구진 등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이 함께 참여해 경증 초로기 치매 환자의 고용 및 사회참여 확대를 위한 실질적인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신병철 인천시 보건복지국장은 “이번 토론회를 통해 초로기 치매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개선하고, 진단 초기부터 사회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는 정책적 기반을 마련해 치매와 더불어 살아가는 포용적 사회로 나아가겠다”고 밝혔다.
토론회는 치매 당사자와 가족, 관련 기관 종사자, 기업·기관 관계자 등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인천광역치매센터 누리집(http://incheon.nid.or.kr)에서 사전 등록 후 참석할 수 있다. 문의는 인천광역치매센터 기획홍보팀(032-472-2028)으로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