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도시로의 전환, 인천시의 생태도시 청사진

도시바람길부터 자녀안심숲까지… 인천의 녹색도시 전략

(한국소통투데이 통신사=김동현 기자) 인천광역시는 탄소 흡수와 도시 열섬현상 완화를 통한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도시숲 조성 사업을 적극 추진 중이다. 시는 올해 국비 27억 원을 포함해 총 62억 원을 투입, 도시바람길숲, 기후대응 도시숲, 자녀안심그린숲 등 다양한 형태의 도시숲을 조성하며 녹지 공간 확충에 나섰다.

 

도시바람길숲은 도시 외곽 산림에서 생성되는 맑고 찬 공기를 도심으로 유입시켜 공기 순환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인천시는 현재 미추홀구 인주대로 등 7곳에 도시바람길숲 조성을 추진 중이며, 이 중 6곳은 이미 준공을 마쳤고 나머지 1곳은 9월 중 조성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기후대응 도시숲은 연수구 농원근린공원 일원에 1.1헥타르 규모로 조성되고 있으며, 폭염 완화 및 탄소 흡수를 통한 기후위기 대응을 목표로 올해 안에 준공될 계획이다.

 

어린이 보호구역 인근에는 자녀안심그린숲이 조성되고 있다. 서구 이음초등학교 주변 0.3헥타르 부지에 조성 중인 이 녹지 공간은 안전한 통학 환경을 제공하는 것은 물론, 보행환경 개선과 교통사고 예방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학교 유휴 공간을 활용한 학교숲 조성 사업도 병행되고 있다. 남동구 남동고등학교와 서구 보건고등학교에 이미 조성이 완료되었으며, 오는 10월에는 동구 송림초등학교와 동산고등학교에 추가 조성되어 학생들에게 쾌적한 학교 환경과 자연 체험 기회를 제공하게 된다.

 

도심 내 자투리 공간을 활용한 정원도시 조성 사업도 단계적으로 추진된다. 인천시는 올해 정원도시 조성을 위한 기본계획과 실시설계를 완료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정원 조성에 착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정원 관리 교육 프로그램도 운영해 시민이 직접 정원 문화를 체험하고, 이웃 간 교류를 확대해 지역 공동체 결속력을 높이는 데 기여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인천시는 기후변화로 인한 폭우나 태풍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재해에 대비해 가로수 위험성 평가진단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시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수목을 사전에 점검하고 보행 환경 개선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장두홍 도시균형국장은 앞으로 다양한 도시숲 조성을 통해 시민에게 쾌적한 휴식 공간을 제공하고,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지속 가능한 생태 도시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