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통투데이 통신사=김동현 기자) 인천광역시는 10월 15일부터 16일까지 송도컨벤시아에서 열린 ‘2025 인천국제환경기술 컨펙스(Confex)’가 국내외 기관, 특구기업, 대학 관계자 등 많은 참가자들이 함께한 가운데 성황리에 개최됐다고 밝혔다.
올해로 4회째를 맞은 이번 행사는 ‘지속가능한 미래사회를 위한 글로벌 기술사업화 경쟁력 강화’를 주제로 열렸으며, 인천시가 주최하고 인천강소연구개발특구 사업단이 주관했다. 강소특구 기업의 우수 기술과 제품을 국내외에 널리 알리고, 글로벌 시장 진출과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기 위한 장으로 마련됐다.
행사 첫날인 15일 개막식에서는 인천시와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인천대학교가 함께 지속가능한 산업과 환경 발전을 위한 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협약을 통해 인천은 녹색기후산업의 혁신 허브도시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글로벌 시장 진출의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했다.
2일간 진행된 이번 컨펙스에서는 한-중앙아시아 지속가능한 미래 협력 플랫폼 구축, 탄소중립 협의체 글로벌 협력 방안, 글로벌 환경 기술 수요 현안 발표 등 13개의 세션을 통해 환경기술 혁신과 지속가능한 미래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이뤄졌다.
특히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 기후기술센터·네트워크(CTCN), 각국 기술전문가 및 외교사절 등이 참여해 행사의 전문성을 높였으며, 파투 하이다라 UNIDO 사무차장과 강수일 UN CTCN 조정담당관의 특별 강연은 인천시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는 데 기여했다.
전시관에서는 정보통신기술(ICT), 기후테크, 환경오염 관리, 자원순환 등 미래 산업 핵심 분야의 최신 기술과 제품이 소개되었고, 방문객이 직접 실증 사례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도 마련돼 높은 호응을 얻었다.
황효진 인천시 글로벌도시정무부시장은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해 국제사회와 기업이 재생에너지와 탄소저감 기술 개발에 함께 역량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번 컨펙스가 인천이 기후변화 대응과 기술사업화의 국제적 중심지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시민의 삶을 바꾸는 기술과 기업의 성장을 연결하는 혁신이 인천의 미래 경쟁력이라며, 세계가 주목하는 기술도시, 지속가능한 산업도시 인천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