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소통투데이 통신사=김동현 기자) 인천광역시가 노후계획도시를 4차 산업혁명의 첨단 기술이 적용된 미래형 모델도시로 전환하기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시는 10월 22일 LG CNS와 시청에서 ‘노후계획도시 시민체감형 첨단미래도시서비스 도입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인공지능 전환(AX), 로봇 전환(RX), 가상 전환(VX) 서비스를 도시정비사업에 접목하기 위한 공공–민간 협력체계를 구축했다고 밝혔다.
이번 협약은 민간의 첨단 디지털 기술을 도시정비사업에 적용하고, 인천시가 제도적·기술적 기반을 지원하는 실질적인 첫 걸음이다. 시는 기존의 물리적 정비 중심에서 벗어나 인공지능, 로봇, 헬스케어 등 4차 산업혁명 기반의 첨단 도시·생활환경을 조성할 계획이다.
노후계획도시는 「노후계획도시 정비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조성된 지 20년이 넘은 100만㎡ 이상 규모의 계획도시를 말한다. 인천에서는 연수·선학, 구월, 계산, 갈산·부평·부개, 만수1·2·3택지 등 5개 지구가 해당된다. 시는 이들 지역을 중심으로 정비사업 방향과 지원체계를 제시할 「노후계획도시정비기본계획」을 현재 수립 중이다.
LG CNS는 인공지능, 로봇, 가상 전환 등 디지털 전환 분야에서 글로벌 기술력을 보유한 국내 대표 기업이다. 인천시는 LG CNS의 기술 역량을 바탕으로 인공지능형 거리 조성, 로봇 생활지원, 헬스케어, 데이터 기반의 모빌리티 및 환경 관리 등 개방형 AI 도시 기술을 기본계획에 반영할 예정이다. 나아가 다양한 민간 기술 파트너들과의 협업을 통해 원도심과 노후계획도시 전반으로 디지털 전환을 확산시킬 방침이다.
이번 협약에 참여한 노후계획도시 미래도시총괄계획가 에드워드 양은 로봇과 인공지능 기반 서비스가 도시 생활의 일상이 되고, 대한민국 전역에 확산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번 정비사업이 단순한 재건축이 아니라 시민 삶의 질을 높이는 도시 혁신이라며, 민간 주도의 정비사업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혁신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시는 올해 말까지 협력 분야와 실증 대상지를 구체화하고 기본계획안을 마련한 뒤 주민 공람 등 절차를 거쳐, 국토교통부 정비위원회 심의를 통과하면 2026년 3월 최종 계획을 확정·고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