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통투데이 통신사=김동현 기자) 이재호 연수구청장은 29일 최근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전동킥보드 사고와 관련해 “기업의 돈벌이로 구민의 안전이 뒷전으로 밀리는 일이 없도록 연수구가 직접 나서겠다”고 밝히며 안전사고 근절 의지를 드러냈다.
이 구청장은 이날 오전 송도 지역 학교 주변에서 열린 ‘전동킥보드 안전수칙 캠페인’에서 ‘송도 킥보드 사고 관련 입장문’을 발표하고 구 차원의 종합 대책을 내놓았다. 그는 “최근 무면허 전동킥보드 사용으로 인한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구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강력한 대책을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이 구청장은 킥보드 사고를 법적 허점에서 비롯된 ‘인재’로 규정하고, 관련 법 개정을 강력히 촉구했다. 실제로 경찰청에 따르면 전동킥보드를 포함한 개인형 이동수단(PM) 사고는 2018년 200건에서 2024년 2,232건으로 5년 만에 10배 이상 증가했으며, 이 중 약 40%는 18세 이하 청소년이 일으킨 사고로 집계됐다.
2021년 개정된 도로교통법은 전동킥보드 운전을 만 16세 이상 원동기 면허 소지자에게만 허용하고 안전모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다. 그러나 대여업체가 면허 소지자에게만 기기를 빌려줘야 한다는 명확한 규정이 없어, 일부 업체가 면허 인증 절차를 생략하면서 청소년 무면허 운전을 부추기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이에 연수구는 관내 대여업체들과 간담회를 열어 ‘면허 인증 시스템’ 도입을 강력히 촉구하고, 이를 법적으로 의무화할 수 있도록 국회에 건의할 방침이다. 또한 송도 학원가 등 유동 인구가 많은 지역을 ‘킥보드 없는 거리’로 지정해 보행자 사고를 예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구는 이를 위해 ‘킥보드 없는 거리 조례’를 제정해 행정적 근거를 마련하고, 인천시와 인천경찰청에 관련 구역의 킥보드 운행 금지를 요청할 계획이다.
불법 주차된 전동킥보드 단속과 견인도 강화된다. 연수구는 지난 2월 인천시 최초로 방치된 PM 견인 사업을 시작해 9월까지 단속 2만3,276건, 견인 18건을 기록했다. 앞으로 단속을 확대해 보행자와의 충돌 위험을 원천 차단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재호 구청장은 “1,200명의 연수구 공직자와 함께 ‘안전도시 연수구’를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구민의 안전을 지키는 모범적인 지자체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또한 “이번 사고를 계기로 무면허 전동킥보드 운전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 구민들이 안심하고 거리를 걸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캠페인은 연수구, 연수경찰서, 유관기관이 함께 참여해 등굣길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참가자들은 현수막과 전단지를 통해 무면허 운전 금지, 안전모 착용, 지정 주차구역 이용 등 전동킥보드 안전수칙을 홍보했다.

